본문 바로가기

최종편집일 2023-06-02 10:15

  • 오피니언 > 독자기고

송진산인가? 송정산인가?문경구곡원림보존회 초대회장 이만유

기사입력 2020-02-19 11:51

페이스북으로 공유 트위터로 공유 카카오 스토리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공유 문자로 공유 밴드로 공유

문경시는 지난 2019630영순면 포내리와 산양면 반곡리 일원 영강변 359992부지에 총사업비 198억 원을 들여 시민광장과 힐링공원, 스마트팜 등이 들어서는 점촌지역 랜드마크를 조성키로 하고 제반 절차를 밟고 있다라고 하였고

 

2020년 고윤환 문경시장님의 신년사에서도 영강 보행교, 송진산 힐링공원, 청정식물원 등 볼거리와 먹거리, 체험거리로 가득

채우려고 합니다라고 하였다.

 

문경의 랜드마크를 조성한다면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사업 명칭이나 지역명은 신중하게 선택하고 사용되어야 한다.

 

문경의 역사와 정체성이 부각되어야 타지역과 차별성, 고유성, 특별성을 가질 수 있고, 그것이 강점으로 작용하여 사업성과도 낼 수 있고 성공할 수 있다. 그렇다면 여론조사나 고증을 통해 명확한 명칭을 사용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것 같다.

 

▲ 송진산인가, 송정선인가?

 

기 발표된 송진산 힐링공원의 송진산은 송진산인가? 송정산인가?

 

2013115 전국에서 처음으로 창립된 구곡 관련 순수 민간단체인 문경구곡원림보존회에서 조선시대 역사 속에서만 머물고 있는 구곡문화

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문경의 젖줄이며 생명의 강인 영강의 아름

다운 아홉 굽이를 선발하여 21세기 신 구곡원림인 영강구곡을 설정, 경영하게 되었으며 이 구곡을 세상에 내놓으면서 20161212발간

한 책에 영강구곡 제2곡으로 송정산과 그 아래 깊은 소를 아울러 송정소" 라고 이름을 정한 바가 있다.

 

이는 우리 구곡보존회 회원들의 현지 조사 및 지역 주민, 향토사학자의 자문과 문헌을 참고하여 결정하였다. 송정소의 한자 표기는 松亭沼(소나무+정자)이다. 실제로 송정산에는 노송이 우거져 있다. 어떤 분은 그곳에 멋진 정자가 있었다고 옛사람들에게서 들었다며 전해 주기도 했다.

* 송진산이라고 할 때 한문 표기는 어떻게 하는지 무슨 뜻인지 알 수가 없다.

 

필자가 주장하는 송정소라고 주장하는 기록 문헌과 근거를 제시하면

첫째, “내고장 전통가꾸기”(1982120, 문경시 발간)영신도령과 영신들이란 전설에 송정쏘가 나오며

 

둘째, “우리고장의 옛이름”(19931230, 점촌문경문화원 발행)에 산양면 반곡리 모래등 밑 남쪽에 있는 쏘()를 송정쏘(松亭沼)라 부른다. 라고 기록되어있다.

 

셋째, 이 지역에 터를 잡고 오래 살아오신 개성고씨 태촌(泰村) 고상안(高尙顔) 선생의 후손이신 문경유림단체협의회 고영조 회장님께서 아래와 같이 친필로 조언도 해주셨다.

 

문경을 사랑하고 문경의 문화관광 발전에 나름으로 열심히 참여한 한 시민으로서 문경시의 역점사업인 점촌의 랜드마크 조성사업이 지금 이라도 제대로 된 지명을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추진되기를 기원한다.

 

          문경구곡원림보존회 초대회장 이 만 유

 

 

 

 

 

 

문경인터넷뉴스사 ()

댓글0

스팸방지코드
0/500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